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

[AWS] RDS DB AWS의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생성하고, 확장,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RDS를 이용하면 대규모 DB 운영까지 가능하며, 자동화와 Failover 기능을 통해 장애 발생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RDS 인스턴스 생성 AWS 의 RDS 메뉴로 들어가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세부 설정 페이지가 나오는데, Mysql 을 선택하고 해당 마스터 사용자(root user) 의 id와 password를 정해주면 된다. 자신만의 패스워드와 id를 사용하면 된다. 퍼블릭 액세스를 "예"로 바꿔준다. 나머지는 기본으로 한다. - (원격접속을 위함) 해당 DB가 설정되고 생성될 때 까지는 10분정도가 걸린다. 우리는 이 시간동안 해당 RDS 인스.. 2022. 6. 28.
[AWS] S3 권한 관리, 접근 제한 AWS에서 제공하는 스토리지인 S3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그 중 보안과 가장 큰 연관성이 있는 객체에 대한 권한 관리와 S3 버킷에 대한 접근 제한 기능을 이용해보겠다. 권한 관리는 파일을 전체 퍼블릭(인터넷)에 공개하거나, 특정 사용자에게만 공개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정책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접근 제어가 가능하다. S3에 올라간 파일을 객체라고 하는데 이 각각의 객체에 대해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권한 설정을 진행하기 전, S3버킷에 몇가지 설정을 풀어주어야 한다.(생성될 때 기본으로 넣어지는 설정) 1. 퍼블릭 액세스 차단 해제하기 해당 설정은 S3 버킷을 처음 만들 때 설정될 수 있다. 해당 버킷에 대한 모든 객체에 대한 퍼블릭 접근을 차단하겠다는 설저이다. 해제해주자. 2. ACL .. 2022. 6. 26.
[AWS] Cloud Watch CloudWatch란? AWS 리소스의 상태를 모니터링 다양한 조건부 알람 기능 측정치와 연계해 다양한 액션 사용 가능 (Auto Scaling, Load Balancing 등) CloudWatch 알람 생성하기(EC2 인스턴스 CPU 모니터링) EC2 인스턴스의 CPU 사용률을 모니터링하고 설정한 측정치에 도달하면 알람 메일을 전송하도록 알람을 생성한다. 먼저, AWS CloudWatch 콘솔에서 경보 생성을 클릭. 우리는 내 서버(EC2)의 CPU 사용량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알람을 보낼 것 이기 때문에, 지표이름이 CPUUtilization 인 것을 지표로 걸어주면 된다. 다음 해당 지표에 대한 세부 설정 페이지가 나오는데, 인스턴스ID가 내가 모니터링을 원하는 EC2 서버의 ID가 맞는지 확인 후 .. 2022. 6. 26.
[AWS] EBS 볼륨을 EC2 인스턴스에 연결, 해제 1.EBS 볼륨 생성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연결되는 EBS 볼륨 외에 새로운 볼륨을 생성해야할 때가 있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EC2 인스턴스와 연결할 EBS 볼륨이라면, 해당 EC2 인스턴스와 가용 영역이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좌측 메뉴의 [볼륨] 클릭 후 [볼륨 생성] 클릭하여 EBS 생성 해보자. 다음 볼륨에 대한 설정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이 때 처음에 언급했던 가용영역을 EC2 가용영역과 똑같이 만들어주어야한다. 내 경우는 ap-northeast-2d 에 EC2 인스턴스가 Running 중이기에, 2d로 가용영역을 바꿔 주었다. 설정 완료 후 아래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EBS 볼륨이 생성된다. 2. 볼륨 연결 이제 해당 볼륨을 우클릭하여 EC2 인스턴스와 연결 해보자. 우.. 2022. 6. 23.